자기소개 및 교습방법 설명 (게시자 작성)
**
선착순 2명만 이메일(3352763@naver.com)을 통해
극작 취미반/등단반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1:1 전문 케어를 통하여 수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착순 2명만 모집하고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수업의 1강 오리엔테이션은 무료로 진행되며,
상호 검증을 통해 더 수업을 이어갈지 상호적으로 결정하게 됩니다.
오리엔테이션을 위한 과제가 있으며, 과제를 성실히 수행하고
그 과제를 통해 서로 앞으로 수업을 해나갈지 선택합니다.
(에세이 과제 주제는 수업 내용에 따른 저작권 문제로
다수 공개하지 못하는 점 양해바랍니다.)
-강사 소개
서울예술대학교 극작과 (중퇴)
2019 부산일보 신춘문예 <도착> 당선
2019 국립극단 희곡우체통 <발화> 당선
2021 웹진 연극 in <연극모독> 발표
2022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체크메이트> 선정
2023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시원사업 <발화> 선정
2025 제 1회 123 페스티벌 <체크메이트> 작품상/연기상 수상
-커리큘럼 소개
드라마틱한 장면 구축을 통해
인물 설계를 중심으로 희곡 창작의 방법론을 여러분은 학습하게 됩니다.
커리큘럼은 오리엔테이션 후 상담에 따라 많은 변동이 있을 수 있으며,
1:1 대면 수업, 수강생이 원하는 바 부득이 비대면으로 진행될 수 있고
수강 시간 또한 유동적입니다.
우리의 목표는 자전적인 자신의 삶을 돌아보면서 인생에서의 글감을 찾고
진정성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예술가는 천재가 아닙니다. 장인입니다.
그에 따라 함께 극작의 방법론을 찾아나가는 것이 대전제입니다.
커리큘럼이 1:1 수업의 내용에 따라 많은 변동이 있을 수 있는 점 양해바랍니다.
각자의 삶이 다르고 필요한 과제 내용이 당연히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본 강사는 획일화된 커리큘럼을 지양합니다.
단막극 또는 장막극 집필을 위한 수강생의 역량에 따라 커리큘럼이 변동되기도 합니다.
<상세 커리큘럼>
1주차 - 왜, 하필, 드라마인가?
> 에세이 과제 : “나의 욕망과 나의 욕망을 방해하는 사람이 함께 살아가야만 하는 이유”
2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1. 인물의 욕망과 비틀린 욕망
> 에세이 과제
3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2. 내면의 변화
> 에세이 과제 : "나만이 저지를 수 있는 죄, 나만이 해낼 수 있는 구원"
4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3. 마침내 일어나고야 만 사태
> 에세이 과제
5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4. 극적인 순간
> 에세이 과제
> 글감 트리트먼트 작성
6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5. 인물 관계 구축
> 에세이 과제
> 글감 트리트먼트 작성
7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6. 갈등, 피할 수 없는 운명의 부딪힘
> 에세이 과제
> 글감 트리트먼트 작성
8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7. 원형에 의한 보편성과 특수성
> 에세이 과제
> 단막극 혹은 장막극 집필
9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8. 시의성과 주제의식
> 에세이 과제
> 단막극 혹은 장막극 집필
10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9. 플롯과 욕망의 제자리, ‘돌아온 일상’
> 에세이 과제
> 단막극 혹은 장막극 집필
+ 수강생의 역량에 따라 커리큘럼 이하 변동
+ 극단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표이자 현 극작가이자 연극 연출가인 김옥미입니다.
2020년도 창단한 극단 [그럼에도 불구하고]는 드라마를 통한 내면의 변화를 향합니다.
인간이 스스로의 정체성과 자아 또는 욕망을 자각한 상태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뤄내는 내면의 변화를 다룹니다.
내면의 변화로부터 이어지는 대단원에 책임 의식을 갖고 드라마를 구상합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마침내 드라마티스트일 것이라 믿기 때문입니다.
선착순 2명만 이메일(3352763@naver.com)을 통해
극작 취미반/등단반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1:1 전문 케어를 통하여 수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착순 2명만 모집하고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수업의 1강 오리엔테이션은 무료로 진행되며,
상호 검증을 통해 더 수업을 이어갈지 상호적으로 결정하게 됩니다.
오리엔테이션을 위한 과제가 있으며, 과제를 성실히 수행하고
그 과제를 통해 서로 앞으로 수업을 해나갈지 선택합니다.
(에세이 과제 주제는 수업 내용에 따른 저작권 문제로
다수 공개하지 못하는 점 양해바랍니다.)
-강사 소개
서울예술대학교 극작과 (중퇴)
2019 부산일보 신춘문예 <도착> 당선
2019 국립극단 희곡우체통 <발화> 당선
2021 웹진 연극 in <연극모독> 발표
2022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체크메이트> 선정
2023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시원사업 <발화> 선정
2025 제 1회 123 페스티벌 <체크메이트> 작품상/연기상 수상
-커리큘럼 소개
드라마틱한 장면 구축을 통해
인물 설계를 중심으로 희곡 창작의 방법론을 여러분은 학습하게 됩니다.
커리큘럼은 오리엔테이션 후 상담에 따라 많은 변동이 있을 수 있으며,
1:1 대면 수업, 수강생이 원하는 바 부득이 비대면으로 진행될 수 있고
수강 시간 또한 유동적입니다.
우리의 목표는 자전적인 자신의 삶을 돌아보면서 인생에서의 글감을 찾고
진정성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예술가는 천재가 아닙니다. 장인입니다.
그에 따라 함께 극작의 방법론을 찾아나가는 것이 대전제입니다.
커리큘럼이 1:1 수업의 내용에 따라 많은 변동이 있을 수 있는 점 양해바랍니다.
각자의 삶이 다르고 필요한 과제 내용이 당연히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본 강사는 획일화된 커리큘럼을 지양합니다.
단막극 또는 장막극 집필을 위한 수강생의 역량에 따라 커리큘럼이 변동되기도 합니다.
<상세 커리큘럼>
1주차 - 왜, 하필, 드라마인가?
> 에세이 과제 : “나의 욕망과 나의 욕망을 방해하는 사람이 함께 살아가야만 하는 이유”
2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1. 인물의 욕망과 비틀린 욕망
> 에세이 과제
3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2. 내면의 변화
> 에세이 과제 : "나만이 저지를 수 있는 죄, 나만이 해낼 수 있는 구원"
4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3. 마침내 일어나고야 만 사태
> 에세이 과제
5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4. 극적인 순간
> 에세이 과제
> 글감 트리트먼트 작성
6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5. 인물 관계 구축
> 에세이 과제
> 글감 트리트먼트 작성
7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6. 갈등, 피할 수 없는 운명의 부딪힘
> 에세이 과제
> 글감 트리트먼트 작성
8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7. 원형에 의한 보편성과 특수성
> 에세이 과제
> 단막극 혹은 장막극 집필
9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8. 시의성과 주제의식
> 에세이 과제
> 단막극 혹은 장막극 집필
10주차 - 드라마란 무엇인가 9. 플롯과 욕망의 제자리, ‘돌아온 일상’
> 에세이 과제
> 단막극 혹은 장막극 집필
+ 수강생의 역량에 따라 커리큘럼 이하 변동
+ 극단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표이자 현 극작가이자 연극 연출가인 김옥미입니다.
2020년도 창단한 극단 [그럼에도 불구하고]는 드라마를 통한 내면의 변화를 향합니다.
인간이 스스로의 정체성과 자아 또는 욕망을 자각한 상태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뤄내는 내면의 변화를 다룹니다.
내면의 변화로부터 이어지는 대단원에 책임 의식을 갖고 드라마를 구상합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마침내 드라마티스트일 것이라 믿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