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소개 및 교습방법 설명 (게시자 작성)
안녕하세요.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학사과정을 졸업 예정인 27살 여자 선생님입니다. 현재 문예창작과 소설(산문) 전공 과외를 모집 중입니다.
저 역시 6개월 동안 소설 과외를 받고 서울예대 문창과에 합격했는데요. 처음 입시를 시작했을 때만 해도 저의 글은 상투적인 문장들로 가득했습니다. 그 당시 저는 유명 백일장은커녕 글짓기에 관한 경험이 없었고, 문학 작품도 많이 접하지 못했던 상태라 기초가 전혀 없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였습니다.
과외를 통해 성실히 글을 읽고 쓰면서 ‘나’와 다른 존재에 대해 더 깊게 파고들고 질문을 던지게 되었습니다. 선생님과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점차 겉핥기식의 문장들은 사라졌고 빛나는 문장을 찾아갔습니다. 하지만 입학 후에는 혼자 글을 쓰는 일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그 초석을 쌓으실 수 있도록 과외를 받으시는 동안 도와드릴게요.
막막하고 두렵기도 한 입시였지만 저에게 과외는 단순히 일방적인 수업이 아닌 삶을 환기해 주는 돌파구였던 날들로 남아있습니다. 그 경험을 토대로 오래도록 빛나는 문학과 시간을 학생분에게도 선물해 드리고 싶어요. 분명 지치는 순간도 있을 테지만 옆에 있는 저와 같이 즐겁게 글 써보아요.
저의 이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학년도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전공 입학(산문 일반전형 합격)
-2021년 명지대학교 백마문화상 소설 부문 당선
-2022~2023년 서울예술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예장> 편집위원
-2023년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전공 행사 ‘문창인의 밤’ 소설 낭독자 선정
-2024년 서울예술대학교 학사학위 전공심화 미디어창작학부 입학
과제와 수업 진행 방식입니다.
#과제
-단편 소설 읽고 단평 작성하기
국내외 현대소설과 고전소설을 한 주에 두 편씩 읽고 단평을 작성합니다. 단평은 단순 감상 문이 아닌 소설의 플롯과 장면을 분석해 보며 소설을 읽는 눈을 키우는 과제입니다. 글을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좋은 글을 많이 읽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글을 잘 쓸 수 있어요.
-콩트 작성하기
문예창작과 실기 기출 콩트를 한 주에 두 편씩 작성합니다. 지난주에 작성해 온 콩트 중 한 편을 퇴고하고 새로운 콩트 한 편을 추가로 작성해 오는 식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실기 감각을 익히는 과정이니 성실하게 글을 써오셔야 해요.
-묘사일지 작성하기
자유롭게 주제를 정해 하루에 한 편씩 10줄 이내의 묘사일지를 작성합니다. 제가
때에 따라 주제를 제시하기도 합니다. 보내드린 회화 작품이나 사진을 보고 묘사를 하거나, 직업군 묘사, 단어 정의하기 등 학생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과제가 주어집니다.
-필사 노트
한 주 동안 읽은 책에서 묘사와 진술이 좋은 문장을 찾아 작성합니다. 이 과정은 발상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이 노트는 매주 검사하지는 않으니 자유롭게 작성하시면 돼요.
#수업
-단편 소설 강독
단평 과제였던 단편 소설들을 강독합니다. 소설의 구조와 문장을 분석하며 학생이 써온 단평도 함께 피드백해 드립니다.
-콩트, 묘사일지 등 과제 첨삭
한 주 동안 써온 콩트와 묘사일지를 꼼꼼히 첨삭합니다. 입시 실기는 글자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글쓰기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매주 콩트를 작성하고 퇴고하는 과정에서 플롯과 장면, 문장 스타일을 만들어 갑니다.
-이론 수업 및 발상 연습
소설 이론 외에도 영화, 칼럼, 철학, 인문학 등 글쓰기에 도움될 만한 내용들을 알려드립니다. 이론 수업이 끝나면 발상과 묘사, 문장 구성 등 때에 따라 학생이 강화해야 할 부분들을 연습합니다.
-피드백
그날 수업의 총평과 학생에게 맞춤 과제를 드리는 시간입니다. 보완점과 나아진 점, 앞으로의 방향성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다양한 텍스트를 추천합니다.
+부수적인 커리큘럼
-영화 감상
한 달에 한 편 영화를 감상하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소설과 영화는 서사성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닮은 부분이 많습니다. 소설을 쓰며 장면화하는 과정에서 좋은 영화의 이미지와 장면을 참고하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인문학책 독서
한 달에 한 권 고전 문학 또는 철학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틀에 박히지 않은 유연한 글을 쓰기 위해서는 사유의 폭을 넓혀야 합니다. 동시대의 소설을 많이 읽는 것도 좋지만 작가의 작품세계에 영향을 준 선행 작품을 읽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독서를 통해 철학적인 배경지식을 가지게 되고 글의 논리를 탄탄히 쌓을 수 있게 됩니다.
과외는 비대면으로 주 1회(4주) 90분~120분 동안 진행되고, 25만 원입니다.
https://open.kakao.com/o/swbpdbqf
성실하게 읽고 쓰실 분들 환영합니다.
오픈채팅으로 연락 주시면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저 역시 6개월 동안 소설 과외를 받고 서울예대 문창과에 합격했는데요. 처음 입시를 시작했을 때만 해도 저의 글은 상투적인 문장들로 가득했습니다. 그 당시 저는 유명 백일장은커녕 글짓기에 관한 경험이 없었고, 문학 작품도 많이 접하지 못했던 상태라 기초가 전혀 없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였습니다.
과외를 통해 성실히 글을 읽고 쓰면서 ‘나’와 다른 존재에 대해 더 깊게 파고들고 질문을 던지게 되었습니다. 선생님과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점차 겉핥기식의 문장들은 사라졌고 빛나는 문장을 찾아갔습니다. 하지만 입학 후에는 혼자 글을 쓰는 일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그 초석을 쌓으실 수 있도록 과외를 받으시는 동안 도와드릴게요.
막막하고 두렵기도 한 입시였지만 저에게 과외는 단순히 일방적인 수업이 아닌 삶을 환기해 주는 돌파구였던 날들로 남아있습니다. 그 경험을 토대로 오래도록 빛나는 문학과 시간을 학생분에게도 선물해 드리고 싶어요. 분명 지치는 순간도 있을 테지만 옆에 있는 저와 같이 즐겁게 글 써보아요.
저의 이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학년도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전공 입학(산문 일반전형 합격)
-2021년 명지대학교 백마문화상 소설 부문 당선
-2022~2023년 서울예술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예장> 편집위원
-2023년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전공 행사 ‘문창인의 밤’ 소설 낭독자 선정
-2024년 서울예술대학교 학사학위 전공심화 미디어창작학부 입학
과제와 수업 진행 방식입니다.
#과제
-단편 소설 읽고 단평 작성하기
국내외 현대소설과 고전소설을 한 주에 두 편씩 읽고 단평을 작성합니다. 단평은 단순 감상 문이 아닌 소설의 플롯과 장면을 분석해 보며 소설을 읽는 눈을 키우는 과제입니다. 글을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좋은 글을 많이 읽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글을 잘 쓸 수 있어요.
-콩트 작성하기
문예창작과 실기 기출 콩트를 한 주에 두 편씩 작성합니다. 지난주에 작성해 온 콩트 중 한 편을 퇴고하고 새로운 콩트 한 편을 추가로 작성해 오는 식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실기 감각을 익히는 과정이니 성실하게 글을 써오셔야 해요.
-묘사일지 작성하기
자유롭게 주제를 정해 하루에 한 편씩 10줄 이내의 묘사일지를 작성합니다. 제가
때에 따라 주제를 제시하기도 합니다. 보내드린 회화 작품이나 사진을 보고 묘사를 하거나, 직업군 묘사, 단어 정의하기 등 학생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과제가 주어집니다.
-필사 노트
한 주 동안 읽은 책에서 묘사와 진술이 좋은 문장을 찾아 작성합니다. 이 과정은 발상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이 노트는 매주 검사하지는 않으니 자유롭게 작성하시면 돼요.
#수업
-단편 소설 강독
단평 과제였던 단편 소설들을 강독합니다. 소설의 구조와 문장을 분석하며 학생이 써온 단평도 함께 피드백해 드립니다.
-콩트, 묘사일지 등 과제 첨삭
한 주 동안 써온 콩트와 묘사일지를 꼼꼼히 첨삭합니다. 입시 실기는 글자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글쓰기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매주 콩트를 작성하고 퇴고하는 과정에서 플롯과 장면, 문장 스타일을 만들어 갑니다.
-이론 수업 및 발상 연습
소설 이론 외에도 영화, 칼럼, 철학, 인문학 등 글쓰기에 도움될 만한 내용들을 알려드립니다. 이론 수업이 끝나면 발상과 묘사, 문장 구성 등 때에 따라 학생이 강화해야 할 부분들을 연습합니다.
-피드백
그날 수업의 총평과 학생에게 맞춤 과제를 드리는 시간입니다. 보완점과 나아진 점, 앞으로의 방향성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다양한 텍스트를 추천합니다.
+부수적인 커리큘럼
-영화 감상
한 달에 한 편 영화를 감상하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소설과 영화는 서사성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닮은 부분이 많습니다. 소설을 쓰며 장면화하는 과정에서 좋은 영화의 이미지와 장면을 참고하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인문학책 독서
한 달에 한 권 고전 문학 또는 철학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틀에 박히지 않은 유연한 글을 쓰기 위해서는 사유의 폭을 넓혀야 합니다. 동시대의 소설을 많이 읽는 것도 좋지만 작가의 작품세계에 영향을 준 선행 작품을 읽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독서를 통해 철학적인 배경지식을 가지게 되고 글의 논리를 탄탄히 쌓을 수 있게 됩니다.
과외는 비대면으로 주 1회(4주) 90분~120분 동안 진행되고, 25만 원입니다.
https://open.kakao.com/o/swbpdbqf
성실하게 읽고 쓰실 분들 환영합니다.
오픈채팅으로 연락 주시면 상담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