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예술서가 소설창작 온라인반 모집안내
예술서가는?
예술서가는 새로운 문학영토 '마리서원‘부터 시작되어 늘 새롭게 거듭나며 수많은 작가를 배출해온 이평재 작가의 소설 창작수업입니다. 등단을 일차 목표로 하며, 작가가 된 뒤에도 작품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최상의 문학수업이 펼쳐집니다. 모호하거나 거창하고 현학적인 말로 학생들을 현혹하지 않으며, 오직 제대로 갖춘 소설창작 공부를 하고자하는 분들을 위한 수업이 펼쳐집니다. 소설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소중하게 여기며 늘 기다리고 환영합니다. 또한 오랜 습작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정체되어 있는 분들에게도 가장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해 작가의 길을 열어드리고 있습니다. 예술서가에서는 소설창작(글쓰기)입문과정, 소설창작오프라인A, 소설창작오프라인B, 소설창작온오프라인A 클래스가 열리고 있습니다.
* 강의작가 이평재?
http://www.seogaus.com/bbs/zboard.php?id=event_hall&no=134
&
[모집 강좌]
소설창작 온라인반 (정원12명, 약간 명 모집)
외국이나 지방에 거주하여 사정상 오프라인수업이 어려운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설창작 수업입니다. 평소엔 늘 열려 있는 홈페이지 강의실 공간에서 공지사항, 강사노트, 자료실, 자유게시판을 통해 수업일정에 맞춰 작품발표와 합평토론을 합니다. 그리고 토요일마다 기본적으로 줌회의방 화상수업으로 열리며 학생들의 합의가 있을 시 매달 마지막 주 수업엔 게시판수업으로 진행하거나, 3개월 1회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오프수업(강의실)도 진행합니다. 주 1회 3개월에 12회 수업으로 각자 2회 합평기회가 주어지며, 3개월마다 재등록을 하면서 등단, 혹은 최고의 작품을 만들 때까지 점점 심화되어 이어지는 수업입니다. 세밀한 합평작품 검토와 텍스트 분석 등 습작에 필요한 모든 내용을 공부하며, 소설을 처음 쓰는 분들도 무리 없이 차근차근 글쓰기를 시작할 수 있도록 입문과정부터 시작하는 체계적인인 커리큘럼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오프수업과 다름없이 작가등단 및 문학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인문학강독, 분홍돌고래 등 콘텐츠도 수업의 일부로 진행합니다.
예술서가 소설창작 온라인반을 등록하시면 예술서가만의 특화된 커리큘럼인 입문과정이6주) 포함되어 있습니다. 빈자리 수시모집을 하고 있으며 수업참석 방식은 홈페이지에 상세하게 안내되어 있습니다.
온라인반 처음 신청 시 총 4개월2주 등록 (입문과정 6주 + 소설창작 온라인반 3개월)
&
* 입문과정 커리큘럼
기초부터 시작하여 기본을 갖추면서 제대로 된 글쓰기를 희망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열리는 수업입니다. 처음 글쓰기를 시작하고자하는 분들, 각 대학 문예창작과 지망생 및 재학생과 졸업생, 그리고 아마추어 수준을 벗어나 어느 정도 전문가다운 글쓰기를 배워 각종 공모전에 응모하고자 하는 분들, 기본적인 사항과 양식을 올바로 배운 뒤 혼자서 천천히 글쓰기를 즐기며 소설습작을 이어가고자 하는 분들, 각종분야의 출판을 위해 원고를 쓰려고 하거나, 이미 써 놓은 자기계발서 및 자서전 등의 원고의 문장을 직접 수정하거나 퇴고하려는 분들, 올바른 문장으로 SAN활동을 하고자하는 분들 등을 위한 성취도 높은 수업입니다. 예술서가의 소설창작수업과 별개로 등록 가능하며, 소설창작 등록 시에도 포함되어 있는, 문장을 이용한 모든 글쓰기의 기본이 되는 과정입니다. 수업은 온라인 줌수업으로 열리며, 학생들이 원할 시 한두 번 강의실 오프수업으로 진행합니다.
입문과정은 일 년에 두세 번 열리고 있으며 현재 18기 모집기간입니다.
예술서가 소설창작 수업을 희망하시는 분들에겐 가장 수월하게 본반으로 합류할 수 있는 적절한 시기임을 알려드립니다.
(1회)
이론 - 글(소설)이란 무엇인가. 글(소설)의 형태 / 독자의 시선과 작가의 시선, 글을 읽고 합평하는 방법 등 전반적 개념 정리
읽기 - 국내 신인작가 등단작품 5편 (현재의 글(소설) 파악)
쓰기 – 5주 과정 수업노트 작성하기
(2회)
이론 – 글을 이루는 요소 상세정리, 글의 형태, 연역법 / 낱말, 문장, 문단, 주제, 소재, 구성, 구조, 시점, 시제 등
읽기 - 국내 신인작가 작품 5편 (유기적 엮기를 위한 장치 파악)
(3회)
이론 – 글을 쓰기 위한 문장론(이평재의 문장 16사항) / 사유, 설득력 갖추기, 유기적직조 등 본격적인 글쓰기
읽기 - 국내 기성작가 작품 3편 (텍스트가 되는 좋은 작품)
쓰기 - 문장 16사항 적용하여 글쓰기 실습
(4회)
이론 - 원고 쓰는 법, 서두쓰기, 화두 던지기, 캐릭터구축 / 글의 표현 방법(설명, 묘사, 함축, 절제, 상징, 중의 등)
읽기 - 완성도 높은 국내 기성작가 작품 3편
쓰기 – 자기비우기 글 제출(원고지 15매~45매)
(5회)
이론 - 이즘을 넘어선 현대문학(글)의 개념 / 문예사조를 통해 파악해보는 현시대의 글(소설)
읽기 - 세계 단편소설 7편 (훌륭한 글쓰기)
쓰기 - 자기비우기 글 첨삭 검토 및 개별 총평
(6회)
이론 - 무엇을 어떻게 쓰나. (이평재의 아이디어수첩 만들기) / 아이디어 수첩 쓰는 방법, 구상수첩 만들기
읽기 - 참신하고 독창적인 작품 7편 (새롭고 감각적인 글쓰기)
&
* 등록방법 및 상세안내 바로가기
http://www.seogaus.com/bbs/zboard.php?id=event_hall&no=134
* 소설창작반 등록 시, 입문과정에서 5만원 할인 적용 (카드결제 가)
&
예술서가 결실 (매체/작품) : 작가명은 홈페이지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2008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 / 우유의식
2009 중앙신인문학상 당선 / 스미스
2009 대산문예 창작기금 선정 / 서천 꽃밭 꽃들에게 외
2009 서울대 문학상 소설부문 수상
2010 경기문화재단 우수소설 선정
2010 김유정 소설문학상 신인상 당선 / 크로스 컷
2012 문예중앙 신인상 당선 / 이야기 속으로
2012 대산청소년문학상 중등부 소설1위 / 새보다 닭
2012 천강문학상 우수상 수상 / 늙은 여자의 노래
2012 작가세계 신인문학상 당선 / 점심의 연애
2013 심훈문학상 수상 / 달콤한 연애
2013 문학의오늘 신인문학상 당선 / 삐삐의 상자
2013 문학사상 신인문학상 당선 / 밤의 고속도로
2013 자음과모음 신인문학상 당선 / 중국상자 이야기
2014 겨레 얼 살리기 전국 고등학생 백일장 대상 수상
2015 경인일보 신춘문예 당선 / 아저씨 안녕
2015 부산일보 신춘문예 당선 / 홈메이트
2015 작가세계 신인문학상 당선 / 바람의 언어
2016 천강문학상 대상 수상
2017 고려대학교 문학상 수상 / 성인식
2017 영남일보 신춘문예 당선 / 라스트 장용영
2018 경인일보 신춘문예 당선 / 린을 찾아가는 길
2019 부천신인문학상 수상 / 오르톨랑
2019 김포문학상 / 로마 로마 로마
2020 경남신문 · 누름꽃
2020 글로리 시니어 신춘문예 / 사블레
2020 이효석문학상 우수상 / 햄의 기원
2021 천강문학상 우수상 / 냉장고의 미래
2021 전태일문학상 / 영국 여인숙
2022 현대경제신문 신춘문예 / 고상한 소스의 세계
2022 글로벌경제신문 시니어 문학상 / 차가운 방
2022 제12회 강릉문학 작가상 / 누구나 그렇게 하는 이유가 있다
2022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 / 세리의 크리에이터 외
2023 경남신문 신춘문예 동화부문 / 학교 가는 날
2023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소설'분야 선정 / 비가 오면 새들은
2023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소설'분야 선정 / 허들링
2023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 / 갈래의 미학 외
2024 서정문학 / 인플루언서 판타지
2024 한국문학 / 사라지지 않는 것들
2024 월간문학 / 공정의 척도
2024 지역문화진흥기금 공모사업 선정 · 김호준
2024 4월19일 김호준 첫 소설집 출간(대단한 건, 말이었다/트임9)
2024 6월 글로벌경제신문 시니어 신춘문예 / 아하, 모멘트 · 박용식
2024 12월5일 양산시립중앙도서관 주최 '작가와의 대화' · 김호준
2025 원주문화재단 소설집출간지원 사업 선정 · 이용기
그 외 대산청소년문학상, 서울대문학상, 이대문학상, 고대문학상 등 각종 대학문학상 수상, 한예종 극작과 등 각 대학 문예창작과 다수합격 및 지방자치단체 문학상 다수 수상. 2019년부터의 성과 및 등단은 소설창작(글쓰기) 6주 입문과정부터 시작한 분들입니다.
&
예술서가 전화 문의 : 02-546-1208
예술서가 홈페이지 : http://www.seogaus.com/main/index1.htm
예술서가 문학카페 와삭와삭스푹스 : https://cafe.naver.com/novellegend
예술서가는?
예술서가는 새로운 문학영토 '마리서원‘부터 시작되어 늘 새롭게 거듭나며 수많은 작가를 배출해온 이평재 작가의 소설 창작수업입니다. 등단을 일차 목표로 하며, 작가가 된 뒤에도 작품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최상의 문학수업이 펼쳐집니다. 모호하거나 거창하고 현학적인 말로 학생들을 현혹하지 않으며, 오직 제대로 갖춘 소설창작 공부를 하고자하는 분들을 위한 수업이 펼쳐집니다. 소설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소중하게 여기며 늘 기다리고 환영합니다. 또한 오랜 습작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정체되어 있는 분들에게도 가장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해 작가의 길을 열어드리고 있습니다. 예술서가에서는 소설창작(글쓰기)입문과정, 소설창작오프라인A, 소설창작오프라인B, 소설창작온오프라인A 클래스가 열리고 있습니다.
* 강의작가 이평재?
http://www.seogaus.com/bbs/zboard.php?id=event_hall&no=134
&
[모집 강좌]
소설창작 온라인반 (정원12명, 약간 명 모집)
외국이나 지방에 거주하여 사정상 오프라인수업이 어려운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설창작 수업입니다. 평소엔 늘 열려 있는 홈페이지 강의실 공간에서 공지사항, 강사노트, 자료실, 자유게시판을 통해 수업일정에 맞춰 작품발표와 합평토론을 합니다. 그리고 토요일마다 기본적으로 줌회의방 화상수업으로 열리며 학생들의 합의가 있을 시 매달 마지막 주 수업엔 게시판수업으로 진행하거나, 3개월 1회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오프수업(강의실)도 진행합니다. 주 1회 3개월에 12회 수업으로 각자 2회 합평기회가 주어지며, 3개월마다 재등록을 하면서 등단, 혹은 최고의 작품을 만들 때까지 점점 심화되어 이어지는 수업입니다. 세밀한 합평작품 검토와 텍스트 분석 등 습작에 필요한 모든 내용을 공부하며, 소설을 처음 쓰는 분들도 무리 없이 차근차근 글쓰기를 시작할 수 있도록 입문과정부터 시작하는 체계적인인 커리큘럼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오프수업과 다름없이 작가등단 및 문학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인문학강독, 분홍돌고래 등 콘텐츠도 수업의 일부로 진행합니다.
예술서가 소설창작 온라인반을 등록하시면 예술서가만의 특화된 커리큘럼인 입문과정이6주) 포함되어 있습니다. 빈자리 수시모집을 하고 있으며 수업참석 방식은 홈페이지에 상세하게 안내되어 있습니다.
온라인반 처음 신청 시 총 4개월2주 등록 (입문과정 6주 + 소설창작 온라인반 3개월)
&
* 입문과정 커리큘럼
기초부터 시작하여 기본을 갖추면서 제대로 된 글쓰기를 희망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열리는 수업입니다. 처음 글쓰기를 시작하고자하는 분들, 각 대학 문예창작과 지망생 및 재학생과 졸업생, 그리고 아마추어 수준을 벗어나 어느 정도 전문가다운 글쓰기를 배워 각종 공모전에 응모하고자 하는 분들, 기본적인 사항과 양식을 올바로 배운 뒤 혼자서 천천히 글쓰기를 즐기며 소설습작을 이어가고자 하는 분들, 각종분야의 출판을 위해 원고를 쓰려고 하거나, 이미 써 놓은 자기계발서 및 자서전 등의 원고의 문장을 직접 수정하거나 퇴고하려는 분들, 올바른 문장으로 SAN활동을 하고자하는 분들 등을 위한 성취도 높은 수업입니다. 예술서가의 소설창작수업과 별개로 등록 가능하며, 소설창작 등록 시에도 포함되어 있는, 문장을 이용한 모든 글쓰기의 기본이 되는 과정입니다. 수업은 온라인 줌수업으로 열리며, 학생들이 원할 시 한두 번 강의실 오프수업으로 진행합니다.
입문과정은 일 년에 두세 번 열리고 있으며 현재 18기 모집기간입니다.
예술서가 소설창작 수업을 희망하시는 분들에겐 가장 수월하게 본반으로 합류할 수 있는 적절한 시기임을 알려드립니다.
(1회)
이론 - 글(소설)이란 무엇인가. 글(소설)의 형태 / 독자의 시선과 작가의 시선, 글을 읽고 합평하는 방법 등 전반적 개념 정리
읽기 - 국내 신인작가 등단작품 5편 (현재의 글(소설) 파악)
쓰기 – 5주 과정 수업노트 작성하기
(2회)
이론 – 글을 이루는 요소 상세정리, 글의 형태, 연역법 / 낱말, 문장, 문단, 주제, 소재, 구성, 구조, 시점, 시제 등
읽기 - 국내 신인작가 작품 5편 (유기적 엮기를 위한 장치 파악)
(3회)
이론 – 글을 쓰기 위한 문장론(이평재의 문장 16사항) / 사유, 설득력 갖추기, 유기적직조 등 본격적인 글쓰기
읽기 - 국내 기성작가 작품 3편 (텍스트가 되는 좋은 작품)
쓰기 - 문장 16사항 적용하여 글쓰기 실습
(4회)
이론 - 원고 쓰는 법, 서두쓰기, 화두 던지기, 캐릭터구축 / 글의 표현 방법(설명, 묘사, 함축, 절제, 상징, 중의 등)
읽기 - 완성도 높은 국내 기성작가 작품 3편
쓰기 – 자기비우기 글 제출(원고지 15매~45매)
(5회)
이론 - 이즘을 넘어선 현대문학(글)의 개념 / 문예사조를 통해 파악해보는 현시대의 글(소설)
읽기 - 세계 단편소설 7편 (훌륭한 글쓰기)
쓰기 - 자기비우기 글 첨삭 검토 및 개별 총평
(6회)
이론 - 무엇을 어떻게 쓰나. (이평재의 아이디어수첩 만들기) / 아이디어 수첩 쓰는 방법, 구상수첩 만들기
읽기 - 참신하고 독창적인 작품 7편 (새롭고 감각적인 글쓰기)
&
* 등록방법 및 상세안내 바로가기
http://www.seogaus.com/bbs/zboard.php?id=event_hall&no=134
* 소설창작반 등록 시, 입문과정에서 5만원 할인 적용 (카드결제 가)
&
예술서가 결실 (매체/작품) : 작가명은 홈페이지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2008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 / 우유의식
2009 중앙신인문학상 당선 / 스미스
2009 대산문예 창작기금 선정 / 서천 꽃밭 꽃들에게 외
2009 서울대 문학상 소설부문 수상
2010 경기문화재단 우수소설 선정
2010 김유정 소설문학상 신인상 당선 / 크로스 컷
2012 문예중앙 신인상 당선 / 이야기 속으로
2012 대산청소년문학상 중등부 소설1위 / 새보다 닭
2012 천강문학상 우수상 수상 / 늙은 여자의 노래
2012 작가세계 신인문학상 당선 / 점심의 연애
2013 심훈문학상 수상 / 달콤한 연애
2013 문학의오늘 신인문학상 당선 / 삐삐의 상자
2013 문학사상 신인문학상 당선 / 밤의 고속도로
2013 자음과모음 신인문학상 당선 / 중국상자 이야기
2014 겨레 얼 살리기 전국 고등학생 백일장 대상 수상
2015 경인일보 신춘문예 당선 / 아저씨 안녕
2015 부산일보 신춘문예 당선 / 홈메이트
2015 작가세계 신인문학상 당선 / 바람의 언어
2016 천강문학상 대상 수상
2017 고려대학교 문학상 수상 / 성인식
2017 영남일보 신춘문예 당선 / 라스트 장용영
2018 경인일보 신춘문예 당선 / 린을 찾아가는 길
2019 부천신인문학상 수상 / 오르톨랑
2019 김포문학상 / 로마 로마 로마
2020 경남신문 · 누름꽃
2020 글로리 시니어 신춘문예 / 사블레
2020 이효석문학상 우수상 / 햄의 기원
2021 천강문학상 우수상 / 냉장고의 미래
2021 전태일문학상 / 영국 여인숙
2022 현대경제신문 신춘문예 / 고상한 소스의 세계
2022 글로벌경제신문 시니어 문학상 / 차가운 방
2022 제12회 강릉문학 작가상 / 누구나 그렇게 하는 이유가 있다
2022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 / 세리의 크리에이터 외
2023 경남신문 신춘문예 동화부문 / 학교 가는 날
2023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소설'분야 선정 / 비가 오면 새들은
2023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소설'분야 선정 / 허들링
2023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 / 갈래의 미학 외
2024 서정문학 / 인플루언서 판타지
2024 한국문학 / 사라지지 않는 것들
2024 월간문학 / 공정의 척도
2024 지역문화진흥기금 공모사업 선정 · 김호준
2024 4월19일 김호준 첫 소설집 출간(대단한 건, 말이었다/트임9)
2024 6월 글로벌경제신문 시니어 신춘문예 / 아하, 모멘트 · 박용식
2024 12월5일 양산시립중앙도서관 주최 '작가와의 대화' · 김호준
2025 원주문화재단 소설집출간지원 사업 선정 · 이용기
그 외 대산청소년문학상, 서울대문학상, 이대문학상, 고대문학상 등 각종 대학문학상 수상, 한예종 극작과 등 각 대학 문예창작과 다수합격 및 지방자치단체 문학상 다수 수상. 2019년부터의 성과 및 등단은 소설창작(글쓰기) 6주 입문과정부터 시작한 분들입니다.
&
예술서가 전화 문의 : 02-546-1208
예술서가 홈페이지 : http://www.seogaus.com/main/index1.htm
예술서가 문학카페 와삭와삭스푹스 : https://cafe.naver.com/novelleg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