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안녕하세요!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는 곳, 한겨레교육 작가아카데미입니다.
작가아카데미는 점점 장르 간 경계가 희미해지는 작금의 흐름을 따라 나누어져 있던 시/소설/평론/장르 카테고리를 '문학'으로 통합하고,
극작 카테고리를 공연창작/미디어창작으로 세분화, 앞으로의 미래를 대비하려 합니다.
봄맞이 아동청소년/그림책 강좌에 새롭게 출범하는 공연창작/미디어창작 강좌들을 더해,
작가 지망생들에게 힘이 될 수 있게끔 할인 이벤트 중이니 놓치지 마세요!
어둠 속 한 줄기 빛이 있다면 그것은 모든 창작의 근간이 되는 '언어'일 테니까요.
할인강좌 자세히 보기
> https://writer.hanter21.co.kr/jsp/edcourse/edcourse_allcate.jsp?no_eno=33
이어 할인은 별도로 적용되지 않지만,
여전히 좋은 수업이 넘쳐나는 5~6월 시/소설/평론 강좌 모음입니다.
-------------------------------------------------------------------------------------------------------------
시에서 좋은 문장이란 어떤 문장일까요?
시의 문장은 어떻게 시작될까요?
마음에 쏙 드는 문장과 마음처럼 써지지 않는 문장 사이에서 누가 뭐라든 내가 좋은 문장을 함께 찾아봅시다.
박은지의 시 문장 실습
> https://iii.ad/27464a
-------------------------------------------------------------------------------------------------------------
미지의 세계인 청소년 시를 쓰는 시인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청소년 시 분야를 확장하고
시인으로서 활동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강의를 시작합니다.
기성의 가치나 구조로부터 자신만의 목소리를 모색해보세요:)
김준현 시인과 함께 읽고 쓰는 청소년 시의 세계
> https://iii.ad/e7f29d
-------------------------------------------------------------------------------------------------------------
시 쓰기의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막막함들은 의외로 많습니다.
무엇을 쓸까부터 어떻게 쓸까까지 쓰는 사람을 괴롭히는 수많은 고민들에서,
시 쓰기와 관련해서 선별한 주요 키워드를 제공합니다.
김근의 야행시 : 시 쓰기 연습 [심야반]
> https://iii.ad/76db60
-------------------------------------------------------------------------------------------------------------
냉정하고 엄숙하기만 한 합평을 피해보고자 합니다.
평가와 판단에서 벗어나, 다정과 위트를 가지면서도 솔직한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편지라는 형식을 통해
시를 따듯하면서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할 것입니다.
이혜미의 시창작 합평반 : 너의 시에 나의 편지를
> https://iii.ad/a63d97
-------------------------------------------------------------------------------------------------------------
처음 시를 써보는 사람도, 꾸준히 시를 쓰며 시인을 꿈꾸고 있는 사람도 모두 환영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어느 순간 우리의 가슴을 친, 시를 쓰고 싶다는 열망입니다.
김근의 시창작 입문반 62기
> https://iii.ad/ddf629
-------------------------------------------------------------------------------------------------------------
수십 년의 강의 동안 수십 명의 시인을 탄생시킨 그 강의.
합평에서 합평으로 끝나는, 순도 100% 시 창작 합평 강의입니다.
단순히 시인이 되고 싶다는 열망이 아니라, '어떤' 시인이 되고 싶은지에 대한 치열한 고민.
김근의 시창작 합평반 51기
> https://iii.ad/72fab5
-------------------------------------------------------------------------------------------------------------
Ut pictura poesis!
시는 그림과 같이!
로마 시대 시인 호라티우스의 말입니다.
본 수업에서는 시의 제1 기본기, ‘묘사’를 깊숙이 파고 들어가 낱낱이 파헤쳐봅니다.
재현 불가능한 시적 묘사를 위하여.
김종연 시인의 시 창작을 위한 묘사일기 : 시적 이미지와 회화성
> https://iii.ad/c3a7b3
-------------------------------------------------------------------------------------------------------------
제43회 김수영문학상 수상자 윤지양 시인과 함께하는 ‘비시각각’(非詩各各) 프로젝트!
수업 시간 동안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세계를 바라보며 시를 씁니다.
라고 불리거나 불리지 않는 텍스트도 읽습니다.
윤지양 시인의 ‘50가지 시작법’
> https://iii.ad/ee8f14
-------------------------------------------------------------------------------------------------------------
‘형식’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 알아보고 장르의 형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시와 소설의 경계 위에서, 나만이 쓸 수 있는 작품 한 편을 완성해보는 것이 수업의 목표입니다.
조시현의 시로 소설하기 : 소설로 시하기
> https://iii.ad/c63c2e
-------------------------------------------------------------------------------------------------------------
매번 새롭게 기획되던 이기리 시인의 강의, 가장 인기가 많았던 강의를 한 번 더 진행합니다.
강의 소개가 이미 한 편의 시라는 후문.
이기리 시인의 매력적으로 시쓰기
> https://iii.ad/530d90
-------------------------------------------------------------------------------------------------------------
시 한 편보다 '쓰는 마음'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강의를 통해 현재 경험하고 있는 것들을 신비화하지 않고 솔직하게 말하려 합니다.
시인, 독자, 텍스트를 구별하여, 자신의 시를 재조정해보는 시간.
[ZOOM LIVE] 양안다의 변화를 위한 시 창작 [합평반]
> https://iii.ad/d03f6f
-------------------------------------------------------------------------------------------------------------
수업은 시 창작에 대한 경험을 중점으로 합니다.
시 창작이 낯선 분은 시와 가까워지고, 시 창작이 익숙한 분은 새로운 생각과 가까워질 것입니다.
시를 쓰는 순간은 혼자이지만, 함께 시에 대해 떠들 동안 말이에요.
양안다의 시작을 위한 시 창작 12기 [입문반]
> https://iii.ad/513b7b
-------------------------------------------------------------------------------------------------------------
흥미로운 테마들로 상상과 사유의 근육을 일깨우고,
‘새로운 글 시작하기’라는 어려운 허들을 함께 넘어봅시다.
잘 쓰기보다 즐겁게 쓰는 것을 지향하는 교실입니다.
김성중의 이야기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vol.1
> https://iii.ad/382ed1
-------------------------------------------------------------------------------------------------------------
순문학의 감동과 장르적 재미를 놓치지 않도록, 구조부터 주제까지 톺아보기!
자본주의, 알레고리, 판타지, SF, 페미니즘, 젠더 등 기성 작가들이 어떤 문제에 주목했으며 주제를 어떻게 다뤘는지를 살펴봅니다.
이경 작가의 순문학의 깊이에 장르의 재미를 담아
> https://iii.ad/9d34aa
-------------------------------------------------------------------------------------------------------------
과연 내가 소설을 쓸 수 있을까 망설이는 당신에게, 첫 소설을 써 보고 싶어 하는 모든 이에게 권합니다.
소설을 써 본 적은 있지만 한 편도 완성해 본 적이 없다면, 소설 쓰기의 기초 중 기초부터 배우고 싶다면?
강태식의 소설창작 71기 : 당신의 '처음' 소설을 만나다
> https://iii.ad/8109c7
-------------------------------------------------------------------------------------------------------------
더 자유로울 수도, 더 어려울 수도 있는 3인칭 시점의 글쓰기.
내 안에 잠재된 이야기들을 발견하고 3인칭 시점의 문장으로 풀어갑니다.
기준영 작가와 3인칭 소설 문장 실습
> https://iii.ad/a04b8b
-------------------------------------------------------------------------------------------------------------
수십 년의 기간 동안, 수십 명의 소설가를 탄생시킨 바로 그 수업! 당신의 소설을 응원합니다.
가열찬 합평을 격려 삼아 김현영과 함께 마침내, 마침표.
더 나아가 ‘무엇을, 어떻게’ 쓸 수 있는지 이야기합니다.
김현영의 소설 합평반 45기 [금요 오전반]
> https://iii.ad/006ac6
-------------------------------------------------------------------------------------------------------------
신춘문예 동시 석권 소설가 전지영과 합평 제대로 시작하기!
이야기가 소설의 꼴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작법 이론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수강생 단편 소설을 합평합니다.
전지영의 초심자를 위한 소설 합평 [심야반]
> https://iii.ad/65b817
-------------------------------------------------------------------------------------------------------------
'순문학의 진지함을 포기하지 않고 장르문학만큼 재미있는 소설을 쓸 수는 없을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플롯의 힘!
이경 작가의 소설 입문 7기 : 순문학과 장르문학의 경계를 넘는 플롯의 힘
> https://iii.ad/580a5f
-------------------------------------------------------------------------------------------------------------
100퍼센트의 가능성으로 소설을 시작하는 작가는 단언컨대 없습니다.
그가 수십 권의 책을 쓴 작가든 이제 막 첫 소설을 쓴 작가든 마찬가지입니다.
소설을 쓰기 위한 단 하나의 조건,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다'는 결핍
김현영의 다짜고짜 소설 쓰기 65기
> https://iii.ad/9d9a66
-------------------------------------------------------------------------------------------------------------
골방에서 느끼던 의심과 외로움을 감지하며 서로가 독자가 되어주고 의지하는 시간.
의심을 풀고, 고독을 잊기 위해 만납니다.
골방에서 나와, 포기하려는 마음을 다잡고 싶은 분들과 함께합니다.
김이설의 소설 합평반 16기 : 골방 안의 소설에게
> https://iii.ad/130a90
-------------------------------------------------------------------------------------------------------------
소설 이후(以後), 이후(以後)의 소설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입니다.
쓸 수 없지만, 지금은 쓸 수 없을 것 같지만
그럼에도 써야 할 소설을 위해, 당신을 위해
하성란의 소설창작_‘이후’(以後)의 소설 26기
> https://iii.ad/5aed4b
-------------------------------------------------------------------------------------------------------------
이 강의에서는 완성된 작품을 객관적으로 들여다보는 작업을 합니다.
함께 읽고 깊이 있는 이야기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작품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완성도를 높여갑니다.
완성된 내 소설에 확신이 안 서는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조영아의 소설 팩토리 심화 18기
> https://iii.ad/ee5ba0
-------------------------------------------------------------------------------------------------------------
한 편의 소설을 완성하기까지 이어지는 과정에는
창작의 고통뿐만 아니라 기쁨도 깃들어 있습니다.
막연한 고민 속에 불안감을 키우는 단계에서 나아가 기쁨까지 나아가는 시간.
지속 가능한 기쁨, 지속 가능한 글쓰기를 위해.
은모든 작가의 소설 쓰기 기초·입문반
> https://iii.ad/0c530c
-------------------------------------------------------------------------------------------------------------
모든 이야기가 소설이 되진 않습니다.
적당한 가공 과정을 거쳐야만 비로소 하나의 작품으로 탄생합니다.
당신의 마음속에 있는 이야기, 가공을 거쳐 하나의 소설로 만들어요. 여기는 팩토리.
조영아의 소설 팩토리 입문 27기
> https://iii.ad/d30488
-------------------------------------------------------------------------------------------------------------
소설의 에너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소설을 쓸 때 작가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잘 만들어진 좋은 소설이란 어떤 걸까요.
“이야기와 삶, 능력과 재능”의 조화에 대한 심층 탐구!
강영숙의 소설창작워크숍 25기 [금요 저녁반]
> https://iii.ad/3e7bbc
-------------------------------------------------------------------------------------------------------------
나의 사적인 감정에 낯선 상상력을 더하는 소설을 써봅니다.
나라는 존재를 오래 응시해서 나오는,
이상한 일이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은 소설을 함께 써보아요.
이토록 수상한 마음이
가장 특별해질 수 있도록.
임선우와 기록하고 싶은 감정에 낯선 상상력 더하기
> https://iii.ad/0858b3
-------------------------------------------------------------------------------------------------------------
비평을 공부할 때 이론을 꼭 공부해야 할까요?
만약 그렇다면 어디부터 시작하면 좋을까요?
비평 이론의 기초에 대해 함께 공부하고 해당 내용을 작품 분석에 적용하는 연습을 진행합니다.
선우은실 평론가의 비평 이론과 비평적 읽기
> https://iii.ad/53c895
-------------------------------------------------------------------------------------------------------------
글을 쓰다보면 내 작품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가 가장 힘듭니다.
이럴 때, ‘작가의 눈’이 아닌 깊고 ‘날카로운 눈’을 지닌 독자, 평론가로 몸을 바꿀 수만 있다면?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와 함께
내 작품 샅샅이 들여다보기!
김준현 평론가의 시창작 교실 : 동시대의 시
> https://iii.ad/67caf3